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미술 비평의 핵심이론 앤더슨과 게히건의 미술비평

by 얌얌짜장 2023. 9. 4.
반응형

수용미학은 작품의 해석에 있어서 수용자의 관점을 중요시하는 포스트 모더니즘적 미술감상의 입장입니다. 앤더슨은 펄트만의 미술비평에 수용미학을 추가하여 자신만의 미술 비평의 4단계를 만들었습니다. 주요 핵심들을 확인해 보겠습니다.

 

1. 앤더슨의 미술 비평의 4단계

앤더슨은 미술 비평을 반응과 기술, 해석과 평가라는 네 단계로 나누고 있습니다. 앤더슨은 먼저 반응의 단계에서 감상자들의 기본적인 반응을 끌어내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합니다. 일반적으로 반응의 단계에서 교육자는 '이 작품에 대한 여러분의 처음 반응은 무엇인가요?', ' 이 작품에 대해 여러분은 어떻게 느껴지나요?'와 같은 질문들로 감상자들의 반응을 끌어내는 단계이다. 두 번째로는 감상자들로 하여금 자심의 느낌과 생각을 글로 기술함으로써 자신이 왜 그러한 감정 혹은 느낌을 갖게 되었는지 스스로 확인하게 도와주는 단계이다. 기술에 있어서는 네 가지 부분을 명확히 하기 위하여 정보를 탐색해야 하는데 먼저 명백한 주제적, 형식적, 기교적 특성들을 조사한다. 그 내용에는 눈에 두드러지는 어떤 이미지가 보이는지, 색깔은 어떠한지, 질감이나 크기, 이 작품이 만들어진 과정등 주제적, 형식적, 기교적 특성들을 조사하여 기술한다. 다음으로 형식과 이미지 간의 형식적 관계를 조사할 필요가 있다. 그 내용에는 어떤 색상, 모양, 질감, 선이 작품 속에 지배적인지, 어떤 움직임을 보이고 있는지, 대조의 특성이 나타나고 있는지 등과 같은 이미지와 형식의 관계를 탐구하여 기술한다. 다음으로는 형식적 특성으로 형태, 색, 주제와 같은 것들의 관련성을 통해 어떤 효과가 의도적으로 나타났는가를 탐구한다. 마지막으로 맥락적인 부분을 검토하는데, 누가 이 작품을 만들었는지, 미술가의 의도와 요점이 무엇이며, 작품의 제목은 무엇인지, 언제 그리고 어디에서 이 작품이 만들어졌는지와 같은 역사 문화적 맥락을 조사 기술함으로써 더 명확하게 작품에 대해 알아가는 단계이다. 기술의 다음 단계는 해석의 단계이다 이는 가장 어려우나 궁극적으로는 가장 의미 있는 단계인데 기술을 바탕으로 실재 자신의 느낌이나 의미 생각을 묻는 단계이다. 일반적인 질문에는 '이 작품이 무엇을 의미한다고 생각하는가?', '이 작품 안에 특정 인물, 추상적 형태, 그리고 사물로서 존재한다면 무엇을 생각하고 느끼겠는가?'와 같은 질문들을 할 수 있다. 마지막 단계는 평가의 단계이다. 평가에는 반응에 근거한 개인적 경험, 미학적 판단, 맥락적 판단 그리고 최종판단으로 나눌 수 있는데, 최종 판단에서는 작품의 의도가 분명한가, 이 작품을 만들어 낸 가치가 있는가와 같은 질문들을 할 수 있다. 

 

2. 게히건의 탐구적 미술 비평의 단계별 활동내용

게히건은 6단계의 탐구과정을 정리하고 있다. 먼저 첫 번째는 문제 인식, 두 번째는 문제의 명확화, 세 번째는 가설설정, 네 번째는 추론, 다섯 번째는 가설 검증, 여섯 번째는 적용 및 발전의 단계이다. 문제 인식의 단계에서는 작품에 대해 감상자와 이야기를 나누고, 작품의 의미와 가치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는 단계이다. 교사는 학생이 작품에 관심을 가지고 탐구 의욕이 일어나도록 계획을 세운다. 두 번째 문제의 명확화 단계에서는 작품을 형식적으로 분석함으로써, 해결해야 할 문제가 무엇인지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돕는다. 교사와 학생들은 제기한 문제들 중 의미 있는 주제를 함께 의논한다. 세 번째 가설설정 단계에서는 작품의 의미와 가치에 대한 해결 방안들이 비평자에게 떠오르는 단계이다. 검증에 실패한 경우에는 다시 이 단계로 되돌아온다. 네 번째는 추론의 단계인데 감상자들 간의 토의와 토론 및 조사 활동을 통하여 가설들의 결과를 추론하는 단게이다. 다섯 번째는 가설 검증으로 의미에 대한 가설들이 작품의 세미한 표현을 통해, 그리고 작가나 작품 제작의 관련 맥락에 대해 수집한 정보가 가설을 증명할 수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이다. 마지막은 적용 및 발전의 단계이다 바평문 쓰기 활동을 통해서 자신의 생각과 의견을 정리하고 탐구과정에서 새롭게 제기된 문제들을 검토한다. 또한 탐구 결과 얻어진 지식과 기능을 다른 작품들에도 적용해 본다.

반응형